24시간 약국 찾기 총정리
오늘 당장 열려 있는 약국을 찾아야 하나요? 24시간 약국의 ‘현실’부터 공공심야약국/휴일지킴이약국, 실시간 조회 루트, 명절 당번약국 정보와 체크리스트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응급 증상(심한 흉통·호흡곤란·마비 등)은 119 또는 응급실을 우선 이용하세요.
핵심 요약
- 상시 24시간 약국은 매우 드뭅니다. 대신 지자체가 야간 약사 상담을 보장하는 공공심야약국(예: 서울 22:00~01:00, 25개 자치구 38개소)과 휴일지킴이약국이 대안입니다.
- 가장 정확한 찾는 법 3가지: 대한약사회 우리동네약국(Pharm114), E-Gen 응급의료포털, 지자체 공공심야약국 페이지(예: 경기도 현황). 방문 전에는 전화 확인 필수입니다.
- 정부·지자체가 2024~2026년 공공심야약국 확대 중. 지역별 지정·시간은 수시 변동되므로 운영정보 자가 업데이트가 확대되어도 최종 전화 확인이 안전합니다.
1. 24시간 약국의 ‘현실’과 대안
왜 적을까? 인력·안전·수지 문제로 상시 24시간 운영은 전국적으로 매우 제한적입니다. 정부·지자체가 예산으로 심야 시간대 약사 상담을 보장하는 공공심야약국을 단계적으로 확대 중입니다.
- 공공심야약국(예시: 서울): 22:00~01:00, 25개 자치구 38개소 운영(스마트서울맵 등으로 확인 가능).
- 휴일지킴이약국: 주말·공휴일 당번 운영(대한약사회 안내).
포인트: 편의점 상비약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약사가 근무하는 약국에서 복약상담을 받는 편이 안전합니다.
2. 지금 당장 여는 약국 찾는 3가지 공식 루트
A. 대한약사회 우리동네약국(Pharm114)
- 시·도 → 구·군 선택 → 운영시간·전화번호 확인 후 통화가 기본 동선입니다.
- 휴일/심야 필터로 당일 가동 약국만 좁혀볼 수 있습니다.
- 우리동네약국(Pharm114) 바로가기
B. E-Gen 응급의료포털
- 메뉴 “문여는 병의원·약국” → 지역/시간 설정 → 지도에서 현재 영업 중 약국만 표시됩니다.
- 한 화면에서 병·의원/응급실도 함께 확인 가능(심야 증상 시 유용).
- E-Gen 약국 검색 바로가기
C. 지자체 공공심야약국 페이지
- 시·도/구·군 보건소에서 약국명·주소·운영시간을 표로 제공합니다(예: 경기도 현황).
- 지자체 공지에서도 “방문 전 유선 확인”을 권고합니다.
- 경기도 공공심야약국 현황
반드시 전화 확인: 현장 사정으로 운영시간·휴무 변경이 잦습니다. 약국이 직접 운영정보를 갱신하는 시스템이 확대돼도, 최종 확인 전화가 가장 안전합니다.
3. 명절(추석 등) 당번약국 활용

- 최근 추석 연휴에 하루 평균 약 5,500~5,573곳의 당번약국이 운영된 사례가 있습니다. 명절에도 의약품 구매 가능하니 미리 확인해두세요.
- 광역·기초 지자체는 명절 직전 비상진료기관/휴일지킴이약국 명단을 공지합니다(예: 인천 연수구 공지 등).
- 대도시는 명절 기간 개문 지원금 등으로 참여를 확대하기도 합니다.
4. 검색 팁
- 키워드 조합: “공공심야약국 + 구/동명”, “휴일지킴이약국 + 시/구”
- 즐겨찾기: Pharm114와 E-Gen은 모바일 홈 화면에 바로가기 저장
- 긴급 대응: 약국이 없고 증상이 급하면 119·129·120에서 인근 의료기관/약국 안내
5. 경험후기
- 평일 23:40 · 서울 ○○구 — E-Gen ‘문여는 약국’ 필터로 10분 거리 약국 확인 → 전화로 운영 확인 후 방문, 해열제·체온계 즉시 구입. 지도+전화 병행이 핵심.
- 주말 오후 · 부산 △△구 — 우리동네약국(Pharm114)에서 ‘휴일지킴이’ 체크 → 3곳 후보 저장 → 1곳 재고 부족, 두 번째 약국으로 바로 이동해 시간 절약.
- 심야 · 경기 □□시 — 지자체 공지와 실제 시간이 달라 전화 재확인 후 방문. 주차·출입 동선까지 물어보니 더 수월했음.
6. 자주 묻는 질문(FAQ)
Q1. 진짜 ‘24시간 내내’ 여는 약국은 없나요?
A. 극소수만 상시 24시간 운영합니다. 대부분은 공공심야약국(예: 서울 22–01시) 또는 휴일지킴이약국으로 공백을 메웁니다. 실시간은 Pharm114/E-Gen에서 확인하세요.
Q2. 심야에 처방전 조제도 가능한가요?
A. 약사 근무 시간이면 가능하지만, 심야에는 병·의원 진료가 적어 처방전 발급 자체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의약품·복약상담 위주로 접근하세요(지자체 안내 참고).
Q3. 어디 정보가 가장 정확하죠?
A. E-Gen(국가 포털), Pharm114(대한약사회), 지자체 공지를 교차 확인하는 게 안전합니다. 방문 전 전화 확인은 필수입니다.
Q4. 앞으로 더 많아지나요?
A. 중앙정부·지자체가 예산을 통해 공공심야약국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지역별 속도·규모 상이).
7. 방문 전 체크리스트
- 운영시간·휴무 재확인(전화)
- 주차·출입 동선 확인(심야 출입 방식)
- 결제 수단(현금/카드/모바일)
- 복용 중인 약·알레르기 메모(스마트폰 메모·사진)
8. 공식 링크 모음
암재활치료 시작 시점·방법 총정리
수술·항암 이후 회복 속도는 언제·무엇을·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글은 암재활의 시작 시점, 핵심 프로그램, 병원/센터 선택 기준과 비용·안전수칙을 한 번에 정리합니다.본 글
nuhdaum.com
새도약기금 총정리(신청, 절차, 추심중단)
새도약기금 총정리(신청, 절차, 추심중단) 가이드7년 이상 장기연체(5천만 원 이하) 채권을 일괄 매입해 소각·채무조정을 추진하는 ‘새도약기금’. 신청 필요 여부, 대상·절차, 홈페이지 조회
nuhdaum.com
요양병원 총정리(5단계 체크사항, FAQ)
요양병원 총정리(5단계 체크사항, FAQ) 부모님 요양병원, 어디가 좋을지 막막하신가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식 등급 확인부터 상담 시 필수 체크리스트, 실제 보호자 후기까지. 실패 없는 요양
nuhdaum.com
2025년 신용회복지원(신용사면) 총정리(+대상자 확인부터 FAQ까지)
2025년 신용회복지원(신용사면) 총정리(+대상자 확인부터 FAQ까지) 오늘, 2025년 9월 30일 00시부터 어려운 시기를 겪었던 서민과 소상공인의 재기를 돕기 위한 신용회복지원(통상 '신용사면')이 드디
nuhdaum.com
2025년 10월 드라마 순위 TOP 8 총정리(+4분기 기대작)
2025년 10월 드라마 순위 TOP 8 총정리(+4분기 기대작)2025년 한 해는 tvN, SBS 등 전통의 강자는 물론 넷플릭스를 필두로 한 OTT 플랫폼까지, 그 어느 때보다 풍성한 K-드라마 라인업으로 가득했습니다.
nuhdaum.com